본문 바로가기
고양이와 강아지

고양이 허피스, 감기와 다른 점은? 증상과 치료법까지

by 싱글방글이 2022. 2. 25.
반응형

사람의 감기 증상과 비슷해 '고양이 감기'로 알려진 허피스. 단순 감기가 아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병입니다. 허피스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양이 감기의 종류

고양이 감기(상부 호흡기 감염, Upper respiratory infection, URI)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고, 아래의 바이러스는 공기 중을 떠다니고 흡입되었을 때 감염되는 에어로졸화 과정을 거칩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허피스와 칼리시 바이러스입니다.

 

  •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 클라미디아(chlamydia) 
  • 보르데텔라(Bordetella) 
  • 칼리시 바이러스(calicivirus) 
  • 헤르페스(herpes)

2. 허피스란?

허피스(헤르페스  Feline Herpes(FHV-1)는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입니다. 

 

3. 고양이 허피스 원인

허피스에 감염된 고양이와의 접촉으로 감염됩니다. 전염성이 강해 콧물이나 침, 눈곱 등 분비물을 통해 직접 전파됩니다. 분비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도 분비물이 닿았던 식기나 천, 화장실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주 감염경로는 새끼고양이가 예방접종 전 어미 고양이의 모유를 먹을 때입니다. 고양이의 80% 정도가 잠복되어 있고 45% 정도가 무증상으로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니 감염되기 쉬운 질병 중 하나입니다.

 

기존 고양이가 있는데 길냥이를 만졌거나, 집에 들였을 경우 반드시 기존 고양이와 격리 기간을 가져야 합니다. 병원에서 길냥이 검사 후 합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고양이끼리는 옮지만 고양이와 사람 사이에는 잘 옮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허피스가 DNA 바이러스이기 때문입니다. 

*허피스 감염경로 정리

감염된 걸린 고양이와의 접촉 (콧물이나 침)

바이러스 공기 노출에 의한 감염

오염된 환경으로 인한 감염

감염된 고양이와 같은 식기와 화장실 사용

엄마 고양이에게서 감염

 

*완치가 불가능

한 번 감염되면 신경절에 침투하여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었을 때 재발할 수 있어 완치가 불가능합니다. 증상이 개선되어도 바이러스가 아예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4. 허피스 증상은?

허피스 바이러스는 10일 미만의 잠복기를 가집니다. 증상은 보통 7일 정도면 호전이 되나 일부는 만성으로 넘어가 면역이 약해지면 증상이 반복됩니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 무기력, 식욕 부진 등의 가벼운 증상만 보이다가 허피스의 대표적인 증상인 눈곱이 끼고 결막염이 나타납니다. 중증의 경우 입과 혀에 궤양 증세가 나타납니다. 심할 경우 폐렴으로 발전하고 새끼 고양이의 경우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 허피스의 대표적인 증상

  • 기침
  • 재채기
  • 콧물
  • 반복되는 눈곱
  • 결막염
  • 입안 궤양
  • 쉰 목소리
  • 발열

 

* 고양이 면역력이 약하되면?

면역력이 약해지면 허피스와 함께 칼리시 바이러스도 같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혼합 감염을 일으킬 경우 결막염이 심해지고, 안구와 눈꺼풀이 붙어 떨어지지 않는 등 염증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새끼 고양이와 노령묘일수록 쇼크와 탈수, 폐렴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면역력 약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칼리시 바이러스는?

허피스 바이러스와 같이 상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는데요. 

칼리시도 허피스와 같이 감염이 된 다른 고양이와의 접촉과 오염물질에 의해 감염됩니다. 다른 점은 사람에게는 옮지 않는 허피스와는 달리 칼리시는 사람에게 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잠복기가 없어 갑자기 발병합니다. 주로 안구질환 증상이 보이는 허피스와는 반대로 주로 구강질환이 먼저 발병합니다.

5. 허피스 치료법

건강하던 고양이였다면 치료가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새끼 고양이나 노령묘는 크게 악화되어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법으로는 항생제와 항 바이러스 제 등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증상에 따라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를 합니다. 주요 증상이 눈과 관련 있다면 대개 소독하고 항생제 성분의 안약을 점안합니다.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는 경구약 및 흡입치료를 합니다.

 

6. 허피스 예방법

① 예방접종

가장 좋은 예방법은 백신 예방접종입니다. 예방 접종이 감염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감염되더라도 증상을 악화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접종은 생후 9주부터 고양이 종합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합백신 접종은 3회를 받아야 하고 접종 후에도 1~3년마다 추가 접종을 해야 합니다. 매년 추가 접종을 해야 백신 항체가 유지될 수 있어 가능하면 병원에서 안내하는 권장 접종시기를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감염되어도 예방접종해야 하는지?

허피스는 완치가 불가능하고 바이러스가 몸 안에 계속 침투해있어 예방접종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보호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종합 백신은 허피스만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범백이나 칼리시 같은 다른 바이러스도 예방하기 때문에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양이 예방 접종의 종류

1차 접종: 종합백신+ 백혈병

2차 접종: 종합백신+ 백혈병

3차 접종: 종합백신+ 광견병

 

② 습도 관리

겨울에는 매우 건조해 발병률이 높아집니다. 집안 온도와 습도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③ 사료와 영양제 관리

증상 재발 예방을 위해서는 질 좋은 사료와 종합영양제, 특히 엘라이신(L-lysin)제제를 먹여 고양이가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④ 청결 유지

다묘 가정일수록 청결을 신경 써야 합니다. 고양이들의 접촉이 많은 식기와 화장실, 침구류 등 자주 사용하는 것은 소독을 해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