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가 자기 발을 물거나 핥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모든 강아지에게 나타나는 흔한 행동인데요. 강아지가 발을 핥는 모습을 흔히 '발사탕'이라고 부릅니다. 강아지가 핥은 이유를 보면 건조함, 스트레스, 강박증, 심심해서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강아지가 발을 핥는 이유와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발을 핥고 무는 이유
1. 더러운 발
산책 시 잔디도 밟고 흙도 밟고 하면 강아지의 발은 금방 더러워집니다. 강아지가 더러운 발이 싫어 청결의 이유로 핥습니다.
2. 아토피와 알레르기
아토피와 알레르기로 인해 강아지가 발바닥을 물거나 핥을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도 따가움과 가려움증 등으로 고통을 주는 아토피는 강아지에게도 흔히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아토피는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으로 알레르기란 특정 물질에 대해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뜻합니다. 알레르기의 가장 큰 원인은 환경적 문제입니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등 여러가지 환경적 요인들이 아토피를 유발합니다.
먹는 사료와 간식을 통해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데 사료와 간식에 함유된 화학첨가물들이 아토피를 유발합니다. 특정 종에 따라 강아지 아토피가 잘 걸리는 품종이 있는데 시추, 말티즈, 푸들 등입니다.
알레르기의 원인
- 환경적
- 화학 첨가물
- 특정 견종
아토피 증상
몸통 보다는 눈과 입 주변, 귀, 항문 주변 등을 가려워해 해당 부위를 긁거나 핥고 무는 행동을 보입니다. 발을 심하게 핥는 '발사탕' 행동을 하면 심한 가려움증을 느끼는 것입니다.
아토피와 알레르기 치료방법
치료방법으로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이 있습니다. 먼저 약물 치료부터 받고 생활습관 개선을 해야 알레르기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토피와 알레르기 예방법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성분을 찾아 해당 성분이 있는 사료와 간식을 주지 않습니다. 집먼지진드기 제거를 위해 침구류를 일주일에 한번씩 세탁하고 햇볕에 소독합니다. 집안 구석구석 먼지가 없게 청소를 자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들이 자주 물고 노는 장난감도 주기적으로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이 한 예방법입니다.
3. 발바닥 습진
발 사이 세균 감염이 되고 곰팡이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아지는 땀이 나는 부위가 발 밖에 없고, 산책 후 발을 씻시고 제대로 말리지 않으면 발 사이사이가 젖어있는 상태가 계속됩니다. 그 상태에서 통풍이 되지 않으면 곰팡이나 세균이 더 잘 자라는 환경을 유발합니다.
4. 겨울철 눈 위 산책
겨울철에 강아지가 발이 시려울까봐 신발을 신기는 보호자가 많습니다. 하지만 발바닥은 열교환이 잘 되어서 강아지들이 차가움을 많이 느끼지 않습니다. 평소 겨울철에는 신발을 신기지 않아도 괜찮지만 눈이 왔을 때는 신발을 신겨야 합니다. 바로 눈을 녹이는 염화칼슘 때문입니다. 이 염화칼슘이 강아지 발바닥에 닿으면 상당히 많은 자극을 주고 강아지는 발바닥에 화상을 입습니다. 염화칼슘이 발바닥에 닿게 되면 산책 후에 샴푸로 발을 씻기고 잘 말려줘야 합니다.
5. 지간염
지간염은 발가락과 발바닥 주변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피부관련 질환입니다. 지간염으로 인해 강아지가 발을 핥거나 물게 되는데 발이 습해지면서 세균이 번식하고 이차적인 감염이 생겨 증상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지간염 증상
- 피부가 짓무름
- 발적이 일어남
- 가려움증
지간염 원인
- 이물질
- 알레르기와 아토피
- 상처
- 세균감염
- 환상
- 외부 자극
지간염 치료법
지간염은 원인에 따라 치료기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두 달 정도입니다. 치료하던 중 염증이 줄어들어 보호자가 임의로 약 먹이는 것을 중지하면 약에 대한 내성이 생겨 치료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간염은 재발이 쉬워서 보호자의 꾸준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6. 상처
발바닥이 아파서 해당 부위를 핥을 수 있습니다. 발바닥은 산책 중에 상처를 입기 쉬운 부위입니다. 패드에 상처가 나거나 까진 부위가 있는지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진드기, 벼룩 등 기생충
여름철에 산책하면 강아지 발바닥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때 강아지가 진드기를 떼어내기 위해 발바닥을 물거나 핥을 수 있습니다.
8. 심리적인 이
강아지가 불안할 때 하는 여러 행동 중 하나가 자기 발을 핥는 것입니다. 혹은 심심할 때도 발을 핥습니다. 사람이 불안할 때 자신의 몸을 만지는 것과 비슷하게 강아지도 자기 발을 핥으면서 심적으로 안정을 취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불리불안 등으로 불안함을 느낄 때 보호자가 없는 틈을 타 발바닥을 핥습니다.
한쪽 발만 더 핥으면?
어느 한쪽 발만 더 많이 핥으면 발의 부상이나 이물질, 상처로 인해 핥을 수 있어 보호자가 자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발사탕 행동 관리해줘야
강아지가 발을 너무 많이 핥고 물으면 넥카가를 씌워 더 이상 발을 핥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발 주변의 털을 정기적으로 잘라서 짧게 유지해 발이 빨리 건조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을 자주 씻기고 소독을 해 발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한 후 완전히 건조해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강아지가 발을 계속해서 핥는다는 것은 발에 문제가 있다는 뜻입니다. 가장 먼저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항상 발이 축축하지 않도록 잘 건조시키고 발에 집중하지 않게 장난감이나 재미있는 놀이를 하면 발을 핥는 행동이 많이 줄어듭니다.
'고양이와 강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패니스 스피츠 성격과 키울 때 주의할 점은? (0) | 2022.02.28 |
---|---|
강아지 예방(백신) 접종 시기와 비용은? (0) | 2022.02.27 |
코카스파니엘 성격과 특징, 키울 때 주의사항은? (0) | 2022.02.25 |
고양이 허피스, 감기와 다른 점은? 증상과 치료법까지 (0) | 2022.02.25 |
강아지 배 먹어도 될까? 주의사항은?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