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랙돌의 유래와 패턴

by 싱글방글이 2022. 1. 20.
반응형

 랙돌(Ragdoll)이라는 이름은 랙돌을 안았을 때 발버둥 치지 않고 봉제인형(Ragdoll)처럼 축 늘어져 안기는 모습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고양이 성격 중 최고의 품종을 뽑을 때 순위권에 드는 랙돌을 알아보겠습니다.

 

1. 랙돌의 유래

 레그돌(랙돌)은 1960년대 미국의 앤 베이커라는 브리더가 만들어낸 품종입니다. 앤 베이커는 조세핀이라는 긴 털을 가진 고양이의 새끼 중 매우 얌전하고 차분한 특징을 보이는 새끼들을 버만, 버미즈와 같은 외형을 가진 고양이와 교배를 시켰고 이때 태어난 것이 랙돌입니다. 2005년 앤 베이커가 '랙돌'이름의 사용권을 갱신하지 않은 뒤에야 국제렉돌고양이협회가 아닌 곳에서도 이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2. 랙돌의 특징

 랙돌의 평균수명은 12~15년으로 다른 고양이와 비슷하고 역사가 길지 않아서 이는 추정입니다. 암컷 몸무게는 4~6kg, 수컷은 5~8kg 정도이며 대형묘에 속합니다. 랙돌은 1살이 되면 체구는 어느 정도 다 컸지만 털 색은 성장 속도가 느려 4살이 되어야 완전한 색을 띱니다. 새끼 고양이가 갓 태어났을 때는 색을 알 수 없으며 12주가 넘어야 모색이 구분이 됩니다. 

 

 눈 색은 파란색이며 이마는 넓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귀는 중간 크기로 둥근 모양이며 대형묘라기에는 크지 않습니다. 

 

3. 랙돌 색깔(패턴)

 공통적인 패턴은 귀, 꼬리, 얼굴은 몸통 색보다 진해야 하며 포인트 색이 있어야 합니다. 턱 색깔은 하얗습니다.

 

 랙돌은 6개의 컬러와 3개의 패턴으로 구분됩니다. 가장 많은 색상이 씰과 블루입니다. 

색상: 씰(짙은 브라운), 블루(그레이), 초콜릿(연한 브라운), 라일락(연한 그레이), 레드(오렌지), 크림

 

패턴: 컬러포인트(Color point), 미티드(Mitted), 바이컬러(Bicolor)

  • 바이컬러: 가장 유명하며 얼굴에 V자가 거꾸로 있는 형태입니다.
  • 미티드: 꼬리, 귀, 얼굴이 진한 색이고 몸통은 그라데이션으로 진한 색입니다. 네 발 모두 하얗습니다. 색상의 구분이 명확히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 컬러포인트: 발이 하얀 미티드와 반대로 발이 까만 패턴입니다. 미티드보다 몸통 색이 밝고 얼굴과 귀 색상은 진합니다.
  • 스페셜패턴: 링스포인트와 토티포인트가 최근에 인기 있습니다. 

 

4. 랙돌의 성격

 차분하고 온순한 성격이어서 최고의 성격이라고 평가를 받습니다. 느긋느긋 하게 여유로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호자에게 의지를 많이 하고 사냥에 대한 집착이 적어 스크래쳐도 다른 고양이와는 다르게 적게 사용합니다. 잘 울지 않고 울더라도 소리가 작아 아파트나 공동주택에서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고양이는 기본적으로 높은 곳을 좋아하는 수직공간을 이용하지만 랙돌은 높은 곳보다는 낮은 곳을 좋아합니다. 

 

 사회성이 좋아 사람을 매우 좋아하며 다른 고양이나 강아지와도 잘 지낼 수 있습니다. 보호자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많아 보호자를 졸졸 따라다니고 잘 때도 같이 자는 것을 좋아합니다. 고양이들이 싫어하는 양치질과 발톱 깎는 행위에도 크게 반항하지 않아 케어하기 쉽습니다.

 

5. 랙돌의 털 빠짐

 평균적인 고양이 털 빠짐에 비해 랙돌의 털 빠짐은 장모 종이여서 심한 편입니다. 장모종이기 때문에 매일 빗질로 털을 관리 해줘야 합니다.

 

6. 랙돌의 질병

 랙돌의 유전병으로는 고양이 심장병인 HCM(Hypertrophic Cardio Myopathy)이 있습니다. 고양이 HCM은 심근이 두꺼워지는 심근질환으로 선천적 심장질병입니다. 대부분 어릴 때 발병하며 이는 유전적 소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HCM이 잘 발생하는 품종으로는 랙돌, 페르시안, 노르웨이 숲 등 대형묘 품종이 더 자주 발생합니다. 증상은 개와는 달리 고양이는 심장병이 있어도 기침을 하지 않고 무기력증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보호자들이 HCM을 알아차리기 매우 어려워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검진 등 심장병이 있는지 확인을 꼭 해봐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