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구충제 종류와 구충 주기

by 싱글방글이 2022. 1. 28.
반응형

 강아지 기생충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충이 필요합니다. 강아지 구충제를 꾸준히 복용해 쉽게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기생충 약은 복용 방법에 따라서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강아지 구충제 종류

강아지 구충제는 먹는 구충제, 바르는 구충제, 목걸이형 구충제가 있습니다.

 

①  먹는 구충제 종류에 따른 구충 범위

(○ : 구충 가능, X: 구충 불가능, △: 일부만 가능)

브랜드 구충 범위 주기 및 시작 연령
하트가드
(Heart guard)
심장사상충: ○
내부기생충:
외부기생충: X
진드기: X
월 1회
임신 중 복용 가능
6주부터
넥스가드 스펙트라
(Nexgard spectra)
심장사상충: ○
내부기생충: 
외부기생충: ○
진드기: ○
월 1회
임신 중 복용 금지
2개월부터
브라벡토
(Bravecto)
심장사상충: X
내부기생충: X
외부기생충:
진드기: ○
분기 1회(12주)
임신 중 복용 가능
2개월부터
하트세이버
(Heart saver)
심장사상충: ○
내부기생충: 
외부기생충: X
진드기: X
월 1회
임신 중 복용 가능
6주부터

 

 먹는 구충제는 피부 자극이 없고 목욕이 바로 가능하지만 강아지가 잘 먹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호성을 위해 소고기 맛과 같은 제품도 있습니다. 부작용으로 구토나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바르는 구충제 종류에 따른 구충 범위

브랜드 구충 범위 주기 및 시작연령
프론트라인
(Frontline)
심장사상충: X
내부기생충: X
외부기생충:
진드기:
월 1회
임신 중 사용 가능
2개월부터
애드보킷
(Advocate)
심장사상충: ○
내부기생충: 
외부기생충:
진드기: X
월 1회
임신 중 사용 금지
7주부터
레볼루션
(Revolution)
심장사상충: ○
내부기생충: 
외부기생충:
진드기:
월 1회
임신 중 사용 가능
6주부터 
에피프로
(Effipro)
심장사상충: X
내부기생충: X
외부기생충:
진드기:
월 1회
임신 중 사용 금지
2개월부터

 

 바르는 구충제는 털을 갈라 피부에 직접 닿게 발라줘야 합니다. 사용법이 간단하지만 강아지가 핥아서 약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혀가 닿지 않는 목 뒤에 발라줍니다. 물에 닿으면 약이 씻겨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약이 다 마를 때까지 물에 닿지 않아야 합니다. 바르는 구충제는 털이 빠지거나 피부에 염증이 생길 수 있어 바르고 난 후 항상 지켜봐야 합니다.

 

 

③ 목걸이 형태

 주로 외부 기생충을 구충하는 역할을 하며 한 번 착용하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걸이가 뜯어지거나 물에 닿게 되는 등 손상되면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습니다. 목걸이에서 예방 성분이 지속적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살충제 성분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착용해야 합니다.

 

세레스토란?

 가장 유명한 제품으로 생후 7주 이상의 강아지부터 사용가능하며 임신견과 수유견은 사용하지 못합니다. 목걸이에서 성분이 지속적으로 나와 기생충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합니다. 착용 후 3일째부터 효과가 나타나고 한번 착용하면 8개월 정도 효능이 지속됩니다. 약을 목걸이로 두른 것이어서 어린아이가 만지거나 강아지가 핥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2. 여러 제품들 중 어떤 걸로 해야 하는지?

① 매달 여러 가지를 신경 쓰기 싫다면 →넥스가드스펙트라

한 번에 다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② 매달 여러 가지를 신경 쓸 수 있다면?  → 따로따로

해당 날짜마다 약을 먹이거나 발라줘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지만 가격은 저렴합니다.

 

3. 구충 예방 주기(기간)는?

  예방백신 1차 접종시(생후 6~8주 부터 가능) 1달 간격으로 추천 예방 기간
심장사상충 3월~11월
내부 기생충 매달
외부기생충 (진드기,벼룩 포함) 3월~11월

 

4. 심장사상충 약 하는데 내부 구충제 필요하는지?

 심장사상충 약들로 일부 내부 기생충이 구제되지만 촌충은 구제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내부 구충제를 추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사상충 약을 매달 챙기더라도 내부 구충제는 2~3달에 한 번은 투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겨울에도 외부 구충제를 발라줘야 하는지? 산책을 시키지 않아도 외부 구충제를 발라줘야 하는지?

 도시에서 실내생활을 하고 산책의 빈도가 낮고, 다른 강아지와 교류가 전혀 없는 강아지는 겨울에는 외부 구충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산책을 하지 않아도 강아지 유치원이나 애견카페에 가는 강아지는 꼭 외부구충을 해야 합니다.

 

<겨울에도 외부 구충제가 필요한 강아지>

  • 시골에서 생활하는 경우
  • 애견카페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
  • 유치원을 다니는 경우
  • 산책 등 다른 강아지와 자주 만나는 경우

 

 강아지 구충제는 종류마다 구충 범위와 복용 주기가 다릅니다. 또한 강아지에 따라 구충 범위와 사용하는 용량도 다르고 부작용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구충제를 선택할 때는 전문의와 상의 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